저혈당(hypoglycemia)은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낮은 상태로, 뇌의 포도당 공급이 중단되며 신경학적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는 응급 상황입니다.
특히 혈당이 급격히 저하되어 신경계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의식장애 또는 혼수 상태까지 진행된 경우, 이를 저혈당 쇼크(hypoglycemic shock)라고 정의합니다.
당뇨병 환자, 특히 인슐린이나 혈당강하제를 복용 중인 환자에서 흔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때로는 비당뇨성 원인(non-diabetic hypoglycemia)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는 심각한 임상적 상태입니다.
저혈당 쇼크
1. 정상적인 뇌 에너지 대사
뇌는 체내에서 포도당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대표적인 기관입니다. 지방산이나 케톤체의 대체 이용도 가능하지만, 단기적으로는 혈중 포도당 농도에 절대적으로 의존합니다. 성인의 경우, 뇌는 하루 약 120~140g의 포도당을 소비합니다.
2. 혈당 조절 메커니즘
- 혈당이 낮아질 때: 인슐린 분비 감소, 글루카곤·에피네프린·코르티솔·성장호르몬 등의 **대항 호르몬(counter-regulatory hormones)**이 증가하여 간의 글리코겐 분해 및 포도당 신생합성 유도
- 그러나 이 메커니즘이 실패하거나, 약물 또는 질병 등으로 인해 균형이 깨지면 저혈당 쇼크로 진행됩니다.
3. 저혈당이 뇌에 미치는 영향
- 혈당 < 50mg/dL: 인지 저하, 집중력 감소
- 혈당 < 40mg/dL: 언어장애, 시야흐림, 기면 상태
- 혈당 < 30mg/dL: 의식 소실, 경련, 혼수
특히 혈당이 20mg/dL 이하로 떨어질 경우 뇌사 및 사망 위험이 높아지며, 1시간 이내 조치가 없다면 영구적 뇌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혈당의 진단 기준 (Clinical Diagnosis)
▶️ 미국당뇨병학회(ADA) 기준
- 혈당 ≤ 70mg/dL: 저혈당 의심, 조기경고 단계
- 혈당 < 54mg/dL: 중증 저혈당 경계
- 혈당 < 40mg/dL: 응급 저혈당, 의식 저하 및 신경학적 후유증 위험
▶️ 휘플의 3대 기준 (Whipple’s triad)
- 저혈당 증상이 있는 상태
- 동시에 측정된 저혈당 수치(혈장 포도당 감소)
- 포도당 투여 후 증상이 호전되는 것
이 세 가지가 충족되면, 임상적으로 저혈당으로 확진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
1. 당뇨병 관련 (약물성 저혈당)
- 인슐린 과다 투여
- 설폰요소계 약물 (Glimepiride, Glyburide 등) 복용 후 식사량 부족
- 주사 시간과 식사 간격 불일치
- 고령 당뇨 환자의 신장 기능 저하 → 약물 배설 지연
2. 비당뇨성 원인
- 알코올성 저혈당: 알코올은 간의 포도당 생성 억제 → 식사하지 않고 술만 마신 경우 위험
- 인슐린종 (Insulinoma): 췌장의 인슐린 분비 종양 → 저혈당 반복
- 간 기능 저하: 간경변증, 간염 등으로 글리코겐 저장/방출 저하
- 심한 패혈증/신부전: 대사 불균형으로 저혈당 유발
3. 기타 상황
- 극심한 운동 후 포도당 고갈
- 영양실조, 다이어트, 공복 장시간 지속
- 임산부의 저혈당 (임신성 당뇨 등)
임상증상 분류 (Neurogenic vs Neuroglucopenic)
증상 유형 설명 주요 증상
Neurogenic (자율신경계 증상) | 교감신경 활성화로 인한 초기 반응 | 발한, 떨림, 불안, 빈맥, 공복감 |
Neuroglycopenic (뇌포도당 결핍 증상) | 뇌 세포의 에너지 결핍으로 발생 | 집중력 저하, 방향 감각 상실, 언어장애, 실신, 경련, 혼수 |
저혈당 쇼크의 응급처치 및 치료 전략
1. 의식이 있는 경우
- 빠르게 단당류 또는 고혈당 식품 섭취
- 포도당 정제(15~20g), 꿀, 설탕, 주스 150ml 등
- 15분 후에도 증상 지속 → 재복용 및 혈당 측정
2. 의식이 없거나 혼수 상태일 경우
- 즉시 119 신고 또는 병원 이송
- 의료 기관 응급처치:
- IV 50% 포도당 용액 20~50ml 정맥투여
- 글루카곤 주사 1mg IM (의식 회복까지 대체용)
3. 경련 발생 시
- 무리하게 제지하거나 입에 물건 넣지 말 것
- 기도 확보를 위해 옆으로 눕히고 회복자세 유지
예방 및 장기 관리 전략
고위험군 대상 예방 조치
- 인슐린 및 약물 용량 조절: 개인 맞춤형 스케줄 설계
- 식사 시간과 운동 계획의 일관성 유지
- 알코올 섭취 제한
- 주기적인 혈당 자가 측정
- 당 저항성 또는 인슐린분비 변화 모니터링
교육 및 가족 대상 매뉴얼화
- 응급 상황에서 글루카곤 키트 사용법 교육
- 고혈당과 저혈당의 차이점 숙지
- 증상 발생 시 대처 매뉴얼 가정 내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