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일 임시공휴일이 최근 온라인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특히, 5월 1일 근로자의 날, 5월 5일 어린이날, 부처님 오신 날 등 연이어 공휴일이 있어, 5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면 최장 6일의 황금 연휴를 활용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5월 2일 임시공휴일
5월 1일 근로자의 날과 5월 5일 어린이날 사이에 있는 5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면, 연차를 쓰지 않고도 최장 6일을 쉴 수 있습니다. 1일~5일 사이의 기간에 연차를 쓰면, 연속된 휴일을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정부가 5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면, 연차를 사용하지 않고 6일 연속 휴가를 즐길 수 있게 됩니다.
정부의 입장
정부는 이 문제에 대해 전혀 검토한 적이 없다며, 논의 계획도 없다고 부인한 상태입니다. 정부가 1월에 내수 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을 지정한 바 있지만, 그 결과 해외여행을 부추긴 것에 대한 비난을 받았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논란을 피하고자, 임시공휴일 지정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고 명확히 밝혔습니다.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영향
1월 27일이 포함된 1월 내국인 출국자 수는 297만 5191명으로, 전년 동월(277만 3675명)보다 7.3% 증가했으며, 전월(271만 8637명)과 비교해도 9.4% 증가했습니다. 또한, 지난해 10월 1일에 지정된 임시공휴일 이후, 10월 1일부터 7일까지의 내국인 출국자 수는 238만 5711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6.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임시공휴일 지정이 국내 소비 진작보다는 해외여행을 부추긴다는 비판을 낳기도 했습니다.
5월 이후 연휴 일정
5월 이후에도 몇 가지 긴 연휴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 6월 6일 현충일: 금요일에 해당하여 주말과 함께 3일 연속으로 쉴 수 있습니다.
- 8월 15일 광복절: 금요일에 해당하여 역시 주말과 함께 3일 연속으로 쉴 수 있습니다.
10월의 황금 연휴
10월에는 7일 연속으로 쉴 수 있는 황금 연휴가 있습니다.
- 10월 3일 개천절 금요일을 시작으로, 토요일(10월 4일)과 추석(10월 5일~7일), 대체공휴일(10월 8일), 한글날(10월 9일)까지 이어집니다.
- 10월 10일에 연차를 사용하면 주말 이틀을 더해 최장 10일의 연휴를 즐길 수 있습니다.
2025년 공휴일 일정 요약

- 5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설 (정부는 논의 미정)
- 5월 1일 (근로자의 날): 공휴일
- 5월 5일 (어린이날): 공휴일
- 6월 6일 (현충일): 금요일, 3일 연휴
- 8월 15일 (광복절): 금요일, 3일 연휴
- 10월 3일 (개천절): 금요일, 7일 연휴 시작
- 10월 4일~10일: 추석 연휴 및 대체공휴일 포함, 연차 사용 시 최대 10일 연휴
5월 2일 임시공휴일 최장 6일 연휴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지만, 정부는 아직 공식적으로 검토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황금 연휴가 이어지는 5월과 10월은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는 시점이며, 연차 활용을 통해 긴 휴가를 즐길 수 있는 기회가 많습니다.